4K 게이밍PC의 시대
4K 게이밍의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단순히 좋은 그래픽카드와 CPU만으로는 부족하다. 발열 관리와 공간 효율성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G카페 인기 PC 케이스 써멀테이크 타워 300 범블비 케이스를 중심으로 구성한 4K 게이밍 PC의 빌드다.
![]() |
써멀테이크 타워 300 4K 게이밍PC |
왜 타워 300 범블비를 선택했나?
타워 300 범블비는 20만원 초반대의 프리미엄 케이스이다. 가격만 보면 부담스럽지만, 실제 사용해보니 그 가치를 충분히 인정할 수 있었다.
![]() |
타워 300은 무려 12가지 색상 |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공간 효율성이다. 세로 35cm 정도의 공간만 확보하면 설치할 수 있어 책상 위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M-ATX 메인보드까지 지원한다. ITX 메인보드가 비싼 현 상황에서 가성비와 확장성을 모두 잡을 수 있는 구조이다.
무엇보다 발열이 높은 하이엔드 부품들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쿨링 구조가 핵심이다. 다만 상단 쿨러만 기본 제공되기 때문에, 하단 및 후면 120미리 혹은 140미리 쿨러를 추가 구매해야 한다. 또한 정면에서 우측 3열은 수냉 쿨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쿨러를 추가 구매 하는 것이 좋다.
![]() |
타워 300 조립 전 구조 |
4K PC의 핵심, CPU 선택의 기준
4K 게이밍과 방송까지 고려한다면 CPU 선택 기준이 달라진다. 게임 성능과 멀티태스킹 처리 능력을 모두 봐야 하기 때문이다.
라이젠 7 7800X3D는 8코어 16스레드에 3D V-Cache 기술로 현재 최고의 게이밍 성능을 보여준다. 4K 게이밍에서는 어떤 CPU보다 뛰어난 프레임 유지력을 갖췄다. GPU NVENC 인코딩을 주로 사용한다면 게임과 방송을 동시에 처리하는 데 문제없다.
라이젠 9 9900X는 12코어 24스레드로 멀티태스킹에 훨씬 유리하다. 방송 송출, 영상 편집, 게임을 동시에 구동해도 안정적이다. 스트리밍과 여러 프로그램을 함께 실행하는 환경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다만 발열과 전력 소모가 커서 충분한 쿨링이 필요하다.
![]() |
게이밍과 원컴 방송 선택은? |
결론적으로 게임 프레임이 최우선이라면 7800X3D가 적합하다. 반대로 방송 편집과 송출, 멀티태스킹까지 고려한다면 9900X가 더 나은 선택이다. 원컴 방송 환경에서는 넉넉한 코어 수의 9900X가 CPU 병목 없이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한다.
실제 구성한 4K 게이밍 PC 사양
이번 빌드에서는 '방송과 영상편집 그리고 게이밍까지' 범용성을 고려해 라이젠 9 9900X를 선택했다.
![]() |
원컴 방송 라이젠 9900X |
그래픽카드는 G카페 테스트 샘플 중 크고(공간 테스트) 가성비 좋은, 라데온 7800XT ASUS TUF 모델이다. 이젠 9070이 대체 모델이라 할 수 있는데, 3열 쿨링 시스템으로 덩치는 크지만 타워 300에는 여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메모리는 32GB DDR5-5600 EXPO 지원 제품으로 구성했다. 4K 게이밍과 영상 편집을 동시에 고려하면 32GB는 필수이다. 64GB까지 고려했지만 체감 성능 대비 가성비를 고려해 32GB로 결정했다.
저장장치는 2TB M.2 SSD 파이어쿠다로 선택했다. 4K 동영상 저장과 대용량 게임들을 고려하면 2TB는 최소 용량이다. 타워 300의 구조상 M.2 SSD를 권장하며, 필요시 2.5인치 SSD 추가도 가능하다.
![]() |
2TB SSD와 다크플래쉬 방열판 |
쿨링은 써멀테이크 TH360 360mm 수냉을 장착했다. 라이젠 9900X의 발열은 이전 세대보다 낮아졌지만, 장시간 고부하 작업을 고려하면 3열 수냉이 안정적이다. 타워 300의 좌우 대칭 디자인에도 완벽하게 어울린다.
![]() |
써멀테이크 3열 수냉 쿨러 장착! |
파워서플라이는 써멀테이크 터프파워 850W 골드 제품이다. 라데온 7800XT와 라이젠 9900X 조합에는 충분하면서도 미래 업그레이드까지 고려한 용량에, 모듈러 제품이라 필요한 케이블만 연결하면 정리가 쉽다.
![]() |
써멀테이크 850W 골드 모듈러 파워 |
조립 과정에서 느낀 타워 300의 장점
실제 조립해보니 타워 300의 설계 철학을 이해할 수 있었다. 내부 공간 활용도가 매우 뛰어난데 G카페에서 테스트해본 결과 사파이어 라데온 7900XT나 ZOTAC RTX 5090 인피니티같은 대형 3열 그래픽카드도 쉽게 설치가 가능했다.
![]() |
사파이어 니트로 7900XT 설치 및 공간 |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케이블 배선이다. 그래픽카드 파워 케이블을 비롯한 각종 케이블들이 거의 보이지 않게 정리할 수 있어서, '케이블타이'를 거의 사용하지 않아도 깔끔한 빌드가 완성된다. 이는 단순히 미관상의 문제가 아니라 공기 흐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
그래픽카드 전원 케이블 |
![]() |
깔끔한 내부 배선 |
4K 게이밍 실제 성능 테스트
구성한 시스템으로 다양한 4K 게이밍 테스트를 진행했다. 모든 테스트는 AFMF 같은 프레임 생성 기술 없이 순수 렌더링 성능으로 측정했다.
검은신화 오공은 4K 울트라 옵션으로 플레이한 결과 60fps 이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RPG 장르의 마지노선인 60fps를 넘어서면서 화려한 그래픽을 온전히 즐길 수 있는 수준이다.
![]() |
검은신화 오공 4K 70프레임 |
배틀그라운드는 4K 해상도에서 '국민옵션' 설정으로 144fps 이상을 확보할 수 있었다. 오버워치 2는 FSR 2.2와 함께 중간 옵션으로 설정하면 144fps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결론적으로 RPG 장르는 60fps 이상, FPS 장르는 144fps 이상으로 4K 게이밍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성능을 확보했다. 그러나 테스트에 사용된 라데온 7800XT 대신 9070이 같은 가격대에 훨씬 좋은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25년 8월 기준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줄 것이다.
발열 관리의 핵심, 타워 300의 쿨링 구조
라이젠 9900X와 라데온 7800XT라는 고발열 부품 조합임에도 불구하고, 타워 300의 배기 구조 덕분에 시스템 온도는 매우 쾌적한 수준을 유지한다.
![]() |
타워 300 쿨링 배기 구조 |
라이젠 9900X는 풀로드 상황에서도 90도를 넘어가는 경우를 거의 보기 힘들 정도로 안정적이다. 이는 장시간 게이밍이나 렌더링 작업에서 큰 장점으로 작용한다. 온도가 안정적이라는 것은 성능 저하 없이 지속적으로 최고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독특한 세로형 구조로 인해 그래픽카드 쿨러 흡기가 안정적이고, 발생하는 열이 상단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어 온도 관리에 큰 도움이 된다. 그래픽카드 및 쿨링을 풀로해도 케이스 진동 역시 없었다.
써멀테이크 공식 테스트 결과 (발열, 소음)
써멀테이크 공식 자료에 따르면 타워 300의 쿨링 성능은 더욱 인상적이다. AIDA64 Extreme과 FurMark를 이용한 100% 풀로드 스트레스 테스트에서 인텔 i9-13900K는 최대 83°C, ASUS ROG Strix GeForce RTX 4090 OC는 최대 79°C를 기록했다.
![]() |
써멀테이크 공식 자료 |
특히 주목할 점은 온도 상승폭(ΔT)이다. CPU는 유휴 상태 28°C에서 풀로드 83°C까지 55°C 상승에 그쳤고, GPU는 유휴 35°C에서 풀로드 79°C까지 44°C 상승을 보였다. 이는 RTX 4090과 같은 최상위 그래픽카드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 |
공식 소음 자료 |
소음 테스트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써멀테이크 타이베이 오피스 환경(온도 25.2°C, 습도 54%, 배경 소음 35.6dBA)에서 50cm 거리 측정 시, 조용한 작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성능을 추구하면서도 정숙성을 포기하지 않는 타워 300의 설계 철학을 잘 보여준다. 실제 G카페에 완성된 게이밍PC를 실행해 보면 매우 정숙한 것을 알 수 있다.
3.9인치 LCD 옵션의 활용
타워 300의 매력적인 옵션 중 하나가 3.9인치 LCD 킷이다. 약 10만원의 추가 비용이 필요하지만, 시스템 정보 모니터링부터 개성있는 이미지 표시까지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 |
써멀테이크 타워 300 옵션 LCD킷 가격 |
설치는 매우 간단하다. 전용 하단 커버로 교체하고 메인보드 USB에 연결한 후 소프트웨어만 설치하면 끝이다. 범블비 테마에 맞춰 범블비 GIF 파일을 설정하니 한층 더 개성 있는 시스템이 완성되었다. 타워 300은 눕히는 형태로 배치가 가능한 옵션 킷도 있다.
![]() |
LCD 이미지 변경 프로그램 |
![]() |
옵션 눕방 스탠드와 LCD킷 |
결론! 타워 300, 이런 분들께 추천한다
써멀테이크 타워 300은 단순히 예쁜 케이스가 아니다. 실용성과 성능을 모두 고려한 진정한 프리미엄 케이스이다.
공간 효율성이 중요한 환경에서 고성능 PC가 필요한 분들에게 특히 추천한다. 책상 위 공간은 가로 세로 30센티면 된다. 그럼에도 고성능 고발열 PC 부품들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 |
타워 300 통풍 구조 |
4K 게이밍과 크리에이티브 작업을 모두 고려하는 분들에게도 최적이다. 발열이 높은 고성능 부품들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쿨링 설계가 핵심이다.
개성있는 PC를 원하는 분들이라면 다양한 컬러 옵션과 LCD 킷 등의 커스터마이징 요소들을 활용할 수 있다. 범블비 외에도 핑크, 화이트 등 화려한 색상 옵션들이 준비되어 있다. G카페에서 출고된 여러 써멀테이크 타워 300의 도장 마감이나 단차 등은 모두 완벽했다.
![]() |
라데온 9070과 써멀테이크 타워 300 |
다만 20만원 초반대의 케이스 가격을 고려하면, 그에 맞는 고성능PC를 구성할 때 진가를 발휘한다. 예산에 여유가 있고 성능과 디자인을 모두 만족 시키고 싶다면, 타워 300은 확실한 선택이 될 것이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카카오페이 후원으로 응원해 주세요!
작성자 오동철(Denis Oh)
프로게이밍 공간 디렉터로서 25년간의 전문 노하우를 바탕으로 PC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