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TB DRAM SSD vs 2TB No-DRAM 게이밍/작업용 선택 가이드

게임&작업용 SSD 선택? 1TB DRAM vs 2TB No-DRAM

게이밍과 고사양 작업을 위한 SSD 구매 시 가장 많이 고민하는 선택지가 있다. 바로 DRAM 탑재 1TB와 DRAM 미탑재 2TB 모델 사이의 선택이다. 용량의 여유를 포기하고 속도를 택할 것인가, 아니면 속도를 포기하고 용량을 택할 것인가?

이 글에서는 TLC SSD의 DRAM 유무와 용량 차이가 실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상황별 최적의 선택을 제시한다.

SSD 선택 가이드
SSD 속도 vs 용량

핵심 차이점 비교
구분 1TB DRAM 탑재 2TB DRAM 미탑재
주요 장점 랜덤 읽기 쓰기 성능 우수, 게임 로딩 속도 빠름, 연속 쓰기 속도 안정, 장기 사용 안정성 넉넉한 저장 공간, 대용량 게임 다수 설치 가능, 가격 대비 용량 효율
주요 단점 제한된 저장 공간,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랜덤 성능 저하, SLC 캐시 소진 시 속도 급락, 게임 로딩에서 체감 차이

실제 성능 차이

게임 로딩 및 작은 파일 처리

테스트 항목 DRAM 탑재 DRAM 미탑재 체감 차이
게임 로딩 속도 빠름 보통 10-20% 로딩 시간 단축
프로그램 실행 빠름 보통 체감상 확연한 차이
작은 파일 접근 우수 느림 일상 사용에서 답답함

영상편집 및 대용량 파일 작업

작업 크기 DRAM 탑재 DRAM 미탑재 비고
10-20GB 파일 안정적 고속 캐시 의존적 SLC 캐시 용량에 따라 차이
100GB 이상 대용량 지속적 고속 속도 급락 영상편집 시 치명적 차이

실제 벤치마크 비교: PCIe NVMe vs SATA SSD

SSD의 성능 차이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실제 벤치마크 결과를 살펴보자. Micron T705 PCIe 5.0 NVMe SSD와 WD SATA BLUE의 CrystalDiskMark 측정 결과는 인터페이스 기술의 차이가 얼마나 큰 성능 격차를 만드는지 보여준다.

벤치마크 측정 결과

구분 Micron T705 (PCIe 5.0 NVMe) WD SATA BLUE (SATA 3) 성능 차이
순차 읽기 8,761.8 MB/s 434.9 MB/s 약 20배
순차 쓰기 9,790.6 MB/s 463.5 MB/s 약 21배
무작위 읽기 741 MB/s 413 MB/s 약 1.8배
무작위 쓰기 2,266 MB/s 1,103 MB/s 약 2.1배

인터페이스 기술의 차이

이처럼 큰 성능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인터페이스 기술의 세대 차이 때문이다.

인터페이스 이론상 최대 속도 실제 성능 범위 특징
SATA 3 600 MB/s 500-560 MB/s 구형 인터페이스, 물리적 속도 한계
PCIe 3.0 NVMe 3,500 MB/s 3,000-3,500 MB/s 기본적인 NVMe 성능
PCIe 4.0 NVMe 7,000 MB/s 5,000-7,000 MB/s 현재 주류 고성능 SSD
PCIe 5.0 NVMe 14,000 MB/s 10,000-14,000 MB/s 최신 기술, 초고성능

체감 성능의 차이

순차 읽기 쓰기 속도는 대용량 파일을 복사하거나 게임을 설치할 때 체감되는 속도다. Micron T705는 100GB 게임을 약 10초 만에 복사할 수 있지만, WD SATA BLUE는 약 3분 이상 걸린다. 무작위 읽기 쓰기 성능은 운영체제 구동, 프로그램 실행, 게임 로딩 등 일상적인 사용에서 체감되는 반응 속도다. 이 부분에서도 PCIe NVMe SSD가 약 2배 가까이 빠르다.

아쉽다면 T705가 테스트 환경 확인(Gen 5)을 거쳤음에도, 스펙대비(최대 14,500MB/s 읽기, 12,700MB/s 쓰기) 성능이 낮게 측정이 됐다. 스펙 성능이었다면 격차는 더 벌어졌을 거다.

SSD 선택 가이드
SSD 실제 속도 차이

실사용 관점에서의 선택
사용 목적 적합한 인터페이스 이유
고사양 게이밍 PCIe 4.0/5.0 NVMe 빠른 맵 로딩과 텍스처 스트리밍 필수
4K 영상 편집 PCIe 4.0/5.0 NVMe 대용량 파일 처리 속도 중요
일반 사무 문서 SATA 또는 PCIe 3.0 가격 대비 성능으로 충분
단순 파일 저장 SATA 속도보다 용량과 가격 효율

SATA SSD는 저렴하고 안정적이지만, PCIe 4.0 NVMe SSD 가격이 많이 내려온 현재로서는 신규 구매 시 PCIe NVMe를 선택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특히 게임이나 창작 작업을 하는 사용자라면 PCIe 4.0 이상 NVMe SSD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용량 vs 속도 WD BLACK 2TB vs 1TB

같은 WD BLACK 시리즈지만 용량과 가격, 그리고 성능 구성이 다르다. 2TB 모델이 더 저렴하지만, 1TB 모델은 DRAM을 탑재했다. 이 차이가 실사용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기본 스펙 비교

구분 WD BLACK N7100 (2TB) WD BLACK N8100 (1TB)
가격 211,780원 237,600원
1GB당 가격 약 106원 약 238원
컨트롤러 WD 자체 컨트롤러 WD 자체 컨트롤러 또는 최신 고성능 컨트롤러
DRAM 미탑재 (HMB 방식) DDR4 1GB 탑재
연속 읽기 7,250MB/s 7,300MB/s
연속 쓰기 6,900MB/s 6,000MB/s
랜덤 읽기 1,000K IOPS 1,400K IOPS
랜덤 쓰기 1,400K IOPS 1,500K IOPS
SLC 캐시 동적 (용량에 따라 가변적) 동적 (용량에 따라 가변적)
TBW 1,200TB 600TB
MTBF 180만 시간 180만 시간

성능 차이의 실제 의미

N8100 1TB의 강점은 DRAM 탑재로 인한 랜덤 성능 우위가 가장 큰 차이점이다. 랜덤 읽기는 약 1.4배, 랜덤 쓰기는 약 1.07배 빠르다. 이는 게임 로딩, 프로그램 실행, 작은 파일 처리 등 일상적인 사용에서 체감되는 속도다. 연속 읽기 속도도 대등하거나 약간 빠르기 때문에 대용량 게임 설치나 파일 복사 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N7100 2TB의 강점은 용량 대비 가격이 압도적이다. 1GB당 가격이 절반 수준이며, 2배의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SLC 캐시 용량도 더 크고 TBW 총 쓰기 수명도 2배다. 저장 위주로 사용하거나, 대용량 게임을 많이 보관해야 하는 경우 합리적인 선택이다.

사용 목적별 선택 가이드

상황 추천 모델 이유
게임 5-10개 정도 플레이 N8100 1TB 용량 충분하고 로딩 속도 최고
대작 게임 20개 이상 보관 N7100 2TB 용량이 절대적으로 필요
영상편집 (4K 이상) N8100 1TB 대용량 파일 작업 시 안정적
사진 영상 아카이브 N7100 2TB 저장 위주라면 용량 우선
빠른 체감 속도 중요 N8100 1TB 랜덤 성능이 일상 체감 좌우
예산 최우선 N7100 2TB 가격 대비 용량 효율 최고

숨겨진 함정 HMB

N7100 2TB 사용 시 주의점은 HMB 방식이 시스템 RAM의 일부를 빌려 쓰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 RAM이 부족하거나,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면 SSD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SLC 캐시 용량이 크지만, 이를 초과하는 대용량 파일 작업 시 속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100GB 이상의 게임을 여러 개 동시에 다운로드하거나, 대용량 영상 파일을 편집할 때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N8100 1TB 사용 시 주의점은 용량이 1TB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작 게임 위주로 플레이한다면 금방 공간이 부족해진다는 것이다. 콜 오브 듀티 워존 150GB, 포르자 호라이즌 100GB, 사이버펑크 70GB 등 몇 개만 설치해도 용량이 빠듯하다. 이 경우 외장 저장장치나 보조 SSD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최적의 절충안

예산이 허락한다면 N8100 1TB를 주 드라이브로 사용하고, 외장 HDD 2TB 약 8만원이나 저렴한 SATA SSD를 보조 저장장치로 추가하는 방식을 추천한다. 이렇게 하면 자주 플레이하는 게임과 작업 파일은 빠른 SSD에 두고, 나머지는 보조 저장장치에 보관할 수 있다. 총 비용은 약 32만원 정도로, N7100 2TB 한 개만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쾌적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상황별 추천 요약

사용 목적 추천 선택 이유
게이밍 위주 1TB DRAM 탑재 로딩 속도가 게임 경험에 직접적 영향
영상편집 창작 1TB DRAM 탑재 대용량 작업 시 안정적 성능 필수
단순 저장용 2TB DRAM 미탑재 용량 대비 가격 효율성 우선
예산 부족 2TB DRAM 미탑재 당장 용량이 더 절실한 경우

자주 묻는 질문

Q. 1TB면 게임 몇 개까지 설치 가능한가요?

A. 대작 게임 기준으로 5-7개 정도 설치 가능하다. 콜 오브 듀티 워존 150GB, 사이버펑크 70GB, 포르자 호라이즌 100GB 같은 대용량 게임은 각각 100GB 전후이며, 운영체제와 기본 프로그램이 약 100-150GB를 차지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Q. DRAM 없는 SSD도 게임용으로 괜찮나요?

A. 게임을 플레이하는 데는 문제없지만, 로딩 속도에서 차이가 난다. 특히 오픈월드 게임이나 맵 로딩이 잦은 게임에서 DRAM 탑재 모델 대비 10-20% 정도 느린 로딩 시간을 체감할 수 있다. 경쟁 게임을 주로 한다면 로딩 속도가 중요하므로 DRAM 탑재 모델을 권장한다.

Q. HMB 방식이란 무엇인가요?

A. Host Memory Buffer의 약자로, SSD가 컴퓨터의 시스템 RAM 일부를 빌려서 DRAM처럼 사용하는 기술이다. DRAM을 직접 탑재한 것보다는 성능이 떨어지지만, 완전히 DRAM이 없는 것보다는 낫다. 다만 시스템 RAM이 부족하거나 여러 프로그램 실행 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Q. SLC 캐시가 소진되면 얼마나 느려지나요?

A. 제품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SLC 캐시 소진 후에는 속도가 절반 이하로 떨어진다. 예를 들어 쓰기 속도가 3,000MB/s에서 1,000MB/s 이하로 급락할 수 있다. 대용량 파일을 자주 다루는 영상 편집이나 대용량 게임 다운로드 시 이런 현상을 체감하게 된다.

Q. 외장 HDD를 보조 저장장치로 사용해도 괜찮나요?

A. 자주 플레이하지 않는 게임이나 백업 파일 저장용으로는 충분하다. 다만 게임을 외장 HDD에서 직접 실행하면 로딩 시간이 매우 길어진다. 보관용으로만 사용하고, 플레이할 게임은 메인 SSD로 옮겨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최적 조합 제안

가장 효율적인 구성은 1TB DRAM 탑재 SSD와 보조 저장장치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주 SSD에는 운영체제, 주력 게임 2-3개, 작업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보조 저장장치에는 외장 HDD나 SSD 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기타 파일을 보관한다. 이 방식의 장점은 핵심 성능은 최고 수준 유지하면서 용량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극한 상황에서의 성능 차이

드라이브가 가득 찼을 때 (용량 85% 이상)

구분 DRAM SSD (N8100) No-DRAM SSD (N7100)
속도 차이 원인 자체 DRAM으로 맵핑 테이블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드라이브가 차도 성능 저하 거의 없음 SLC 캐시 부족과 맵핑 테이블 관리 불안정으로 랜덤 읽기 쓰기 속도 저하
체감 일관된 속도 유지 파일 접근 및 프로그램 실행 시 버벅임 발생

대용량 파일의 지속적 쓰기

구분 DRAM SSD (N8100) No-DRAM SSD (N7100)
속도 차이 원인 DRAM이 충분한 버퍼 제공하여 SLC 캐시 소진 후에도 속도 저하 적음 SLC 캐시 소진 시 속도가 급격히 하락
체감 수십 GB 파일 복사 및 렌더링 시 끝까지 빠른 속도 유지 초반에는 빠르다가 중반 이후 급격히 느려짐

고사양 시스템 벤치마크

구분 DRAM SSD (N8100) No-DRAM SSD (N7100)
속도 차이 원인 PCIe 5.0 지원 또는 고성능 PCIe 4.0으로 이론 최대 순차 속도가 높음 PCIe 4.0 또는 보급형 PCIe 4.0 한계로 최대 대역폭에서 격차 발생
체감 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서 높은 수치 기록 수치상 낮게 측정 (실제 체감은 제한적)

요약

N8100 DRAM 모델은 최고 속도와 어떤 환경에서도 일관된 성능을 제공한다. 특히 드라이브가 가득 차거나 대용량 작업 시 안정적이다.

N7100 No-DRAM 모델은 일상적 사용에는 충분하지만, 극한 상황에서는 용량 대비 속도에서 취약점을 보인다.

결론

단일 SSD 사용이라면 체감 성능과 작업 안정성을 위해 1TB DRAM 탑재 모델을 추천한다. 특히 NVMe 환경에서는 DRAM 유무에 따른 차이가 더욱 크게 느껴진다. WD BLACK N8100 1TB 같은 DRAM 탑재 모델은 게임 로딩, 프로그램 실행, 대용량 파일 작업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실제 G카페에서 테스트한 마이크론 T705는 윈도우 설치 및 업데이트 설치 및 게임 로딩 속도가 너무 체감이 커서, 고속 SSD가 주는 장점을 크게 느낄 수 있었다. 물론 금방 익숙해져서 당연하게 느껴진다.

SSD 추천 가이드
현 시점 1티어 추천 초고속 T705

반면 저장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예산이 제한적이라면 WD BLACK N7100 2TB 같은 대용량 모델도 합리적인 선택이다. 다만 대용량 파일 작업이나 여러 게임을 동시에 다운로드할 때는 성능 저하를 감수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자.

가장 이상적인 구성은 빠른 1TB DRAM SSD를 주 드라이브로 사용하고, 보조 저장장치를 추가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성능과 용량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카카오페이 후원으로 응원해 주세요!


작성자 오동철(Denis Oh)
프로게이밍 공간 디렉터로서 25년간의 전문 노하우를 바탕으로 PC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문의: deniswing@gmail.com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