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 모니터의 시대

컴퓨터 그래픽카드는 다중 모니터(이하 듀얼)를 지원한다. 윈도우10과 윈도우11는 디스플레이 설정과 그래픽카드 제어판을 통해 모니터의 위치 및 방향까지 모두 설정이 가능하다. 이번 글에서는 듀얼 모니터 설정 방법과 함께 다중 모니터의 장단점을 모두 분석해 보자. 

듀얼 모니터 설정 가이드
다중 모니터 마스터 가이드

다중 모니터 연결 방법

그래픽카드는 DP,HDMI,DVi,D-SUB등 다양한 모니터 연결 단자가 있다. 이 곳에 한 개 이상 연결 시 특별한 호환성 문제만 없다면 자동으로 인식된다. 

첫 연결 시 "복제" 모드로 동작하고, "윈도우 디스플레이 설정"을 통해, 모니터 배치 및 주 모니터 설정 등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설정하고 저장해야만 한다. 

듀얼모니터 설정 완벽가이드
그냥 꼽으면 인식된다!

윈도우10 디스플레이 설정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들어간다. 디스플레이 설정에는 "여러 디스플레이" 에서 크게 두 가지를 설정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방향 
선택한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방향을 선택 (가로, 세로, 반전)

디스플레이 정렬
디스플레이 높이 및 방향 등을 선택한다.

듀얼모니터 설정 완벽가이드
듀얼 모니터가 보인다

듀얼모니터 설정 완벽가이드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

듀얼모니터 설정 완벽가이드
디스플레이 방향 설정

Nvidia 제어판 설정

윈도우10 디스플레이 설정과 거의 동일하다. 윈도우 디스플레이 설정과 nvidia 제어판 설정 중 하나만 설정하면 된다. 

듀얼모니터 설정 완벽가이드
nvidia 제어판 듀얼 모니터 설정

다중 모니터 연결과 바탕화면

모니터 숫자만큼 윈도우 디스플레이 설정을 통해 바탕화면 및 배경화면 등을 설정이 가능하다. 설정에 따라 스크린 샷 또한 달라진다. 검은 여백은 없는 공간이 캡쳐 된 것이다. 즉 모니터의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마우스 스크롤 시 걸림? 현상이 발생한다. 마우스 동선도 생각해야 한다.

듀얼모니터 설정 완벽가이드
가로 + 세로 디스플레이 조합 캡쳐

듀얼모니터 설정 완벽가이드
가로 + 가로 디스플레이 조합 캡쳐

듀얼모니터 설정 완벽가이드
가로 + 가로 디스플레이 조합 스팬 모드 배경화면

듀얼모니터 설정 완벽가이드
가로 + 세로 디스플레이 조합 스팬 모드 배경화면

다중 모니터 설정 주의 할 점 (메인 모니터)

다중 모니터 혹은 듀얼모니터 설정 시 주의할 점은 "주 모니터 설정"이다. 윈도우가 선택한 모니터가 아닌 사용자가 선택하자. 주 모니터에서 게임 등이 우선 실행된다.

듀얼모니터 설정 완벽가이드
주 모니터 설정하기

윈도우 듀얼 모니터 설정 영상

윈도우 다중모니터 설정, 듀얼모니터 설정은 하단 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글보다 영상이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윈도우 듀얼(다중) 모니터 오류 문제

윈도우에서 다중 모니터 사용시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과 해결방법을 정리했다. 주사율 차이로 인한 깜빡임부터 DPI 스케일링 문제까지, 실제 사용자들이 겪는 대표적인 문제들을 다뤄보겠다.

주사율이 다른 듀얼모니터 깜빡임

메인모니터 144Hz와 서브모니터 60Hz를 함께 사용할 때 발생하는 가장 흔한 문제다. 동영상 시청시 메인모니터에서 렉이 발생하거나, 전체화면 전환시 깜빡거림 현상이 나타난다.

듀얼 모니터 설정 가이드
듀얼 모니터의 장점 144Hz WQHD + 60Hz FHD 세로

해결방법 1: 주사율 통일
설정에서 디스플레이 → 고급 디스플레이로 이동해 두 모니터의 주사율을 동일하게 설정한다. 보통 60Hz로 통일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해결방법 2: G-Sync/FreeSync 설정 조정
NVIDIA 제어판에서 G-SYNC 설정에 들어가 "창 모드 및 전체 화면 모드에 G-SYNC 사용" 옵션을 체크 해제한다.

해결방법 3: GPU 하드웨어 가속 비활성화
Chrome이나 Edge 브라우저 설정에서 시스템 메뉴로 이동해 "사용 가능한 경우 하드웨어 가속 사용"을 비활성화한다.

해상도가 다른 듀얼모니터 DPI 스케일링 문제
4K 메인모니터와 FHD 서브모니터를 함께 사용할 때 글자 크기가 이상하게 나타나거나, 앱을 모니터간 이동시 글자가 깨져 보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마우스 커서가 모니터 경계에서 걸리는 현상도 흔하다.

해결방법 1: 개별 모니터별 스케일링 설정
설정에서 디스플레이로 이동해 각 모니터를 선택한 후 "배율 및 레이아웃"에서 개별 설정한다. 4K 모니터는 150%, FHD 모니터는 100%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한다.

해결방법 2: 마우스 커서 걸림 현상 해결
Little Big Mouse 프로그램을 설치해 모니터 높이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Corner Crossing을 활성화한다. 다운로드 링크 : https://github.com/mgth/LittleBigMouse

Little Big Mouse
마우스 걸림 해결 Little Big Mouse

해결방법 3: 앱별 DPI 인식 설정
문제가 있는 앱을 우클릭해 속성 → 호환성으로 이동한다. "높은 DPI 설정에서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 재정의"를 체크하고 "시스템(향상됨)"을 선택한다.

듀얼모니터 검은 화면 또는 인식 안됨

두 번째 모니터가 감지되지 않거나 검은 화면으로만 나타나는 문제다. "디스플레이를 감지할 수 없습니다" 메시지가 표시되기도 한다.

해결방법 1: 기본 감지 시도
설정에서 디스플레이로 이동해 "감지" 버튼을 클릭한다. 여러 디스플레이 옵션에서 "화면 확장"을 선택한다.

해결방법 2: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장치 관리자에서 디스플레이 어댑터로 이동해 그래픽카드를 우클릭하고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 후 재 부팅한다.

해결방법 3: 케이블 및 포트 확인
HDMI나 DP 케이블을 다른 포트에 연결해보고, 케이블 불량 여부를 확인한다. 모니터 전원을 완전히 껐다 켜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게임 전체화면이 원치 않는 모니터에서 실행

게임이 원하는 모니터가 아닌 서브모니터에서 실행되거나, 주모니터로 강제 이동이 되지 않는 문제다. Alt+Tab으로 전환시 화면이 깨지는 경우도 있다.

해결방법 1: 주 디스플레이 설정
설정에서 디스플레이로 이동해 원하는 모니터를 선택하고 "기본 디스플레이로 설정"을 클릭한다.

해결방법 2: 게임별 모니터 지정
Steam 게임의 경우 게임 속성에서 시작 옵션에 "-windowed -noborder"를 추가한다. 게임 실행 후 원하는 모니터로 드래그하면 된다.

해결방법 3: NVIDIA/AMD 제어판 설정
NVIDIA 제어판의 3D 설정 관리에서 게임별로 기본 모니터를 설정할 수 있다.

HDR 설정 충돌

한쪽 모니터만 HDR을 지원할 때 색상이 이상하게 나타나거나, 밝기 자동 조절로 인한 깜빡임 현상이 발생한다. 영상 시청시 색감이 부자연스럽게 보이기도 한다.

해결방법 1: HDR 개별 설정
설정에서 디스플레이로 이동해 각 모니터를 선택한 후 HDR 사용 옵션을 개별적으로 조정한다.

해결방법 2: 자동 HDR 비활성화
설정에서 게임 메뉴로 이동해 자동 HDR을 끄고, 게임별로 수동 HDR 설정을 한다.

윈도우 HDR 설정
윈도우 HDR 설정

빠른 해결 체크리스트

- 케이블 연결 확인 - HDMI/DP 케이블이 제대로 꽂혀 있는지 확인한다.
- 모니터 전원 - 완전히 껐다 켜보자.
- 드라이버 최신 업데이트 - 그래픽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 윈도우 업데이트 확인 - 윈도우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한다.
- 주사율과 해상도 통일 시도 - 두 모니터의 설정을 동일하게 맞춰본다.
- DPI 스케일링 조정 - 각 모니터별로 적절한 스케일링을 설정한다.

응급처치 팁

- Windows + P: 디스플레이 모드를 빠르게 전환할 수 있다.
- Windows + Shift + 화살표: 창을 다른 모니터로 이동시킨다.
- Ctrl + Shift + Esc: 작업 관리자로 응답 없는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한다.

그래도 해결되지 않을 때

위의 방법들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다음을 시도해보자.

- 모니터 제조사 지원 사이트에서 전용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를 확인한다.
- DDU(Display Driver Uninstaller)를 사용해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완전히 삭제한 후 재설치한다.
- 윈도우 디스플레이 설정을 초기화한다.

대부분의 듀얼 모니터 문제는 이 방법들로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라데온의 경우 듀얼 모니터 사용 시 해상도가 바뀌는 문제가 있는데, 드라이버 제거 후 재 설치(클린) 하면 된다. 


듀얼 모니터 사용이 게임 성능에 미치는 영향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면서 한쪽에서는 게임을 하고 다른 쪽에서는 유튜브 영상을 재생하면 게임 프레임이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그 영향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다.

그래픽 카드(GPU) 자원 분배: 게임과 유튜브 영상 재생 모두 그래픽 카드의 자원을 사용한다. 게임은 주로 3D 렌더링에 GPU를 집중적으로 사용하고, 유튜브 영상은 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통해 GPU의 비디오 디코딩 부분을 사용한다. 따라서 두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면 GPU 자원이 분산되면서 게임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듀얼모니터와 게임
보조 모니터를 끄고 게임하는 프로게이머

하드웨어 가속: 크롬이나 엣지 같은 웹 브라우저는 유튜브 영상 재생 시 '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사용한다. 이 기능은 GPU를 이용해 동영상을 처리하여 CPU의 부담을 줄여주지만, 동시에 GPU 자원을 사용하게 된다. 일부 사용자의 경우, 이 하드웨어 가속을 끄면 프레임 드랍 현상이 해결되었다는 사례도 있다.

VRAM 사용량: 두 번째 모니터에 다른 콘텐츠(예: 유튜브)가 표시되면 그래픽 카드의 비디오 메모리(VRAM) 사용량이 증가한다. VRAM이 부족한 그래픽 카드의 경우, 이로 인해 게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주사율 불일치: 두 모니터의 주사율(Hz)이 다를 때 프레임 드랍이나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용자 경험도 있다.

듀얼 모니터 장점
로스트아크는 듀얼 편하다!

결론적으로, 일반적으로 듀얼 모니터 환경에서 유튜브 영상을 재생하면 약간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영향은 사용하는 그래픽 카드의 성능, 게임의 사양, 그리고 브라우저 설정(하드웨어 가속 여부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듀얼(다중) 모니터 정리

결국 듀얼 모니터는 아주 민감한 FPS 게이머에게는 불 필요 한 면이 있고, RPG나 일반적 용도에서는 매우 큰 도움이 된다. G카페 경험상 모니터는 대기업 제품(삼성, 엘지, 델, 벤큐, ASUS)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고, 모니터의 주사율이 같은 것이 좋다. 

듀얼 모니터 설정 가이드
360Hz 듀얼 200만원!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카카오페이 후원으로 응원해 주세요!

작성자 오동철(Denis Oh)

프로게이밍 공간 디렉터로서 25년간의 전문 노하우를 바탕으로 PC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문의: deniswing@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