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틀그라운드 순단 현상
원주 게이머들의 성지! G카페 PC 중 몇 대가 갑자기 배틀그라운드가 실행 중 멈춰버리는 현상(순단현상)이 발생했다. PC가 다운되거나 크래쉬가 뜨는 형태가 아닌 배틀그라운드만 멈춰버리는 그런 현상이다.
현재까지 배틀그라운드 순단현상, 혹은 급격한 프레임드랍에 대한 해결책은 확실하지 않다. 단지 최신 시스템과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에서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인지,개발사인 블루홀은 순단현상 및 프레임 드랍이 심한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보내주기를 원하고 있다.
배틀그라운드 공식카페에는 엄청난 양의 정보를 취합한 유저의 글이 보인다. (20.08.21기준)
https://cafe.naver.com/playbattlegrounds/4797757 순단현상 시스템 집대성
이 글과 블루홀의 공지를 기반으로 착한PC연구소의 테스트 결과를 보면 확실히 446.14 버전의 그래픽 드라이버에서는 프레임 드랍이 심하거나 하는 현상은 덜한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아예 멈추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NVIDIA 446.14 버전 드라이버
현재까지 가장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이는 NVIDIA 드라이버는 하단 링크를 통해서 받을 수 있다. (446.14 버전)
https://www.nvidia.co.kr/download/driverResults.aspx/159943/kr
착한PC연구소 테스트 결과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은 후에 DDU와 같은 드라이버 클린 유틸을 이용해 클린 설치 하는 것을 권장한다.
DDU는 하단 공식 웹사이트 링크에서 최신 버전을 받으면 된다.
https://www.wagnardsoft.com/ 공식 웹사이트
DDU를 실행하기 전에, 윈도우 10 서비스에서 업데이트 항목을 꺼줘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거 후에 윈도우가 알아서 드라이버를 설치해 버린다.
서비스 끄기 1단계 - 윈도우10
서비스 끄기 2단계 - 서비스 옵션 설정
위와같이 설정한 후 DDU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안내가 나온다. 그냥 다 무시하자.
DDU 실행화면
DDU가 최종 실행되면, GPU와 NVDIA를 선택한 후에 지우고 다시시작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재부팅을 진행한다. 재부팅이 된 후 다운받은 NVIDIA 드라이버를 실행하고 설치해 주면 된다.
현재까지 보고된 배틀그라운드 극단적 프레임 드랍 및 순단현상은 카카오 및 스팀 모두 동일한 문제다. 아직 확실해 해결된 것도 아니고 별 별 문제들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블루홀 측은 다이렉트X 실행을 통해 문제를 리포트 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다이렉트X 실행하기
다이렉트X 실행 방법은 어렵지않다. 시작 - 실행 란에 Dxdiag를 입력하고 실행해 주면 자동으로 진단을 시작한다. 만약 다이렉트X에 문제가 있다면 자동으로 설치가 된다.
bgsecondary 파일 삭제
bgsecondary 파일 삭제도 배틀그라운드가 멈추거나 할때 사용해 볼 수 있는 방법이라고는 되어 있다. 위와 같이 배틀그라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경로로 들어가 bgsecondary를 삭제하면 되는데, 자동으로 다시 생성되기에 걱정안해도 된다.
G카페 프로게이밍 좌석
원주시 G카페기준 10700K + RTX 2080Ti + DDR4 32G를 사용 중인 프로게이밍 좌석에서만 배틀그라운드 순단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이점으로 다크플래쉬 DLS480 케이스 색상만 다를뿐 모든 사양이 동일하나, 왼쪽 하얀 본체에서만 발생한다. 즉 현재까지 다룬 해결방법과 원인은 완벽한 것이 아니다는 것을 밝힌다.
#배틀그라운드끊김 #배틀그라운드설정 #배틀그라운드국민옵션 #배그렉 #배틀그라운드최적화 #배틀그라운드순단 #다이렉트X진단도구실행 #NVIDIA드라이버설치 #배틀그라운드순단 #배틀그라운드 프레임드랍현상
글 / 사진 : 풍류 주필
만들고 뿌듯했던 우리집 안방이자 놀이터
9월부터 11월까지는 많은 결혼과 이사가 시작됩니다. 새집으로 이사갈때 TV(텔레비젼)는 한 번쯤 구매를 고려하는 아이템입니다. 모니터 역시 그렇습니다.
TV와 모니터를 선택할때 중요한 요소라면 "인치"로 익숙한 TV 화면 사이즈 그리고 FHD(Full HD) UHD(Ultra HD)로 구분되는 화질(해상도)이 있습니다.
필자 역시 원주 전원주택으로 이사오면서, 가구와 더불어 TV부터 구매를 했습니다. 그런데 거실사이즈에 맞는 TV를 선택하지 않고, 기존에 사용했던 TV 사이즈 제품 중 적당한 가격으로 선택을 했습니다.
32인치 TV와 거실... 글씨가 안보여...
이후 TV에 대한 불만이 터지면서, 해외 사이트를 통한 공부를 많이 한 것 같습니다. 특히 단독 주택과 거실이 발달한 미국은, 공간크기 기준 적합한 TV 사이즈를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사이트까지 있습니다. (하단링크)
http://www.rtings.com/tv/learn/size-to-distance-relationship
"적정 시청거리"는 TV 시청에 있어 가장 적합한 거리를 의미하는데요, 몰입감등에 최적화된 거리입니다. 사람마다 개별차는 있을 수 있습니다.
"적정 시청거리"는 TV가 지원하는 해상도에 따라 다른데요, UHD는 동일한 사이즈의 TV에서 FHD 대비 좀 더 가깝게 보는 것이 좋습니다. 혹은 FHD 대비 더 큰 TV를 구매해야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최적의 TV 거리 계산을 해주는 사이트
"적정 시청거리"를 위해선 TV 구매 전 설치할 장소의 실 크기를 알아야 합니다. 아파트 거주인구가 높은 대한민국 현실에서 거실과 안방이 주된 설치장소라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거실과 안방의 벽간 거리 3.6미터
작은 사이즈인 22평 아파트도, 위 도면 기준 일반적으로 거실과 안방의 시청거리가 3미터 이상 나옵니다. 70인치 이상TV를 구매해도 충분한 "시청 적정거리"입니다. 사람의 시야각 (약 200도)을 기준으로 TV나 모니터는 설치장소 기준으로 거리를 보면 됩니다.
대체적으로 자세가 고정되는 TV와 달리 모니터는 적정 사이즈가 되지 않으면 본능적으로 앞으로 고개를 빼거나 허리를 숙이게 됩니다. 세밀한 집중도가 높은 모니터의 특성 때문입니다. 이럴때 발생하기 쉬운 것이 "거북목"과 같은 관절질환 이지요.
70인치 모니터 거리별 크기
집에서 혼자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플레이스테이션과 같은 게이밍장비및 IPTV를 통한 영화 및 TV 시청까지 다양한 여가활동이 원스톱으로 실행됩니다.
TV 혹은 모니터는 체감 만족이 매우 큰 장비로, 오래사용하는만큼 AS 및 켈리브레이션과 같은 요소도 중요하지만 해상도별 적정한 크기만큼 중요한 요소는 없습니다.
글 / 사진 / 영상 : 풍류 주필
PC를 구매하는데 있어, 필 수 부품 중 하나인 램(RAM) 혹은 메모리는 현재 출시되는 제품들 기준 DDR4를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램을 구매하고자 해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그래서 준비한 PC별 메모리 (이하 “램”) 구매가이드를 남긴다. 먼저 기본 표기법이다.
메모리 속도와 대역폭 표기법 이해!
2666MHz = PC4-21300
2666은 메모리 클럭 (1초 당 속도 의미)
PC4는 DDR4를 의미함 PC3는 DDR3
21300 = 대역폭
1초 X 2666 클럭 X 1회 데이터 전송량 8Byte = 21328 = 21300
CL 값 : 메모리 타이밍 (낮을 수록 좋다)
1.XX V : 메모리 공급 전압
*메모리 성능 비교 링크 : https://www.itwind.co.kr/2020/01/pc.html
1. 램은 많을 수록 좋다?
램은 많을 수록 좋긴하지만, CPU와 메인보드에 따라 최대 지원용량이 다르다. 윈도우10 시스템 기준 8G(단순 사무), 16G(게임), 32G(작업)면 충분하다.
2. 램 아무거나 꼽아도 된다?
인텔과 AMD기준 각 각 지원하는 램 속도와 시스템 성향이 다르다. 현재 출시된 인텔 10세대 제품기준 i5는 DDR4 2666, i7 이상은 DDR4 3000을 지원한다. 라이젠은 DDR4 3200, APU는 DDR4 2666을 지원한다.
3. 램 속도 빠를 수록 좋다?
인텔과 AMD 시스템의 경우 공식 지원하는 속도가 있으나 램 클럭 및 램의 타이밍 조절을 통해 시스템의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하지만 무조건 높은 속도의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전체 시스템 속도 향상 대비 지불 비용이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그 차액으로 다른 부품의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4. 삼성램이 좋다?
맞다. 일단 삼성램은 호환성, 안정성, 가격, 오버클럭 유연성, 중고가 등 감성(RGB LED)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좋다. 다만 디자인 및 XMP나 고클럭을 원하는 경우라면 삼성램은 선택의 폭이 없다.
5. LED나 방열판은 필수?
그렇지 않다. 그저 감성을 위한 디자인 측면이 강할 뿐, 실제 발열은 크지 않고(램 속도 오버클럭 하지 않는 기준) LED와 방열판은 있으면 좋은 옵션일 뿐 성능과는 큰 관계가 없다.
ADATA 수냉 방열판 메모리
풍류일보는, 착한PC연구소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추천한다.
인텔 + B/H 칩셋 기준 + i5 이하 : 삼성 DDR4 PC 2666
인텔 + Z칩셋 기준 + K시리즈 CPU : TeamGroup DDR4 16G PC4-25600 Delta RGB
AMD APU : 삼성 DDR4 PC 2666
RYZEN : TeamGroup T-Force DDR4 16G PC4-25600 CL16 Delta RGB
AORUS 브랜드 통합PC : GIGABYTE AORUS DDR4 16G PC4-28800 RGB (8Gx2) with Demo kit
써멀테이크 브랜드 통합PC : 써멀테이크 DDR4 16G PC4-25600 CL16 TOUGHRAM RGB
기가바이트 AORUS 깔맞춤 RGB 메모리
램오버가 필요없거나, 합리적 비용을 원한다면 삼섬 램의 선택은 중고가를 고려한다해도 최고의 선택이다. 특히 크지 않은 범위에서 오버클럭 유연성도 갖추고 있어 매력적이다.
높은 성능을 원하는 시스템의 경우라도, 라이젠과 인텔 시스템에 있어 현재 가격 기준 가장 매력적인 제품은 팀그룹의 Delta 시리즈다. 과거 호환성 떨어졌던 팀그룹의 제품이 이제는 다양한 제품과의 조합에도 큰 문제가 없다.
화려한RGB + 탄탄 방열판 써멀테이크 터프램
브랜드 통합 시스템을 원하는 경우 기가바이트 프리미엄 브랜드 AORUS는 자체 브랜드 램이, 프리미엄 케이스 써멀테이크 시스템의 경우도 자체 TOUGH 램이 있어 브랜드 통합이 가능하다. 자체 테스트 결과 양사의 제품은 오버 클럭을 통한 성능 향상의 매력도 갖추고 있다.
글 / 사진 / 영상 : 풍류 주필
기상특보란 갑작스런 기상에 변화가 생겼을때 하는 보도를 의미
기상특보는 경보와 주의보로 나뉨
기상주의보는 기상 상태가 사회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을 알리는 예보
기상경보는 재해가 발생해 큰 피해를 당할 수 있음을 경고하는 예보.
기상특보에 해당하는 것
호우(CR7), 대설, 강풍, 건조, 황사, 한파, 해일, 태풍, 폭염
대설 기준 예시 (24시간 기준)
재설량 5센티 이상 (주의보)
재설량 20센티 이상 (경보)
강우량 기준 예시 (시간이 다름)
호우(CR7) 주의보
6시간 기준 70미리
12시간 기준 110미리
호우(CR7) 경보
6시간 기준 110미리
12시간 기준 180미리
글 / 사진 : 풍류 주필